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꿀팁

점자의날: 빛 없는 세상에서의 밝은 메시지

by 정생 2023. 10. 24.
반응형

점자는 시각 장애인들이 세상과 소통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 중 하나입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이 글자들은 그들에게 빛과 같이 세상을 밝히는 도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점자의 날'은 이러한 점자의 중요성을 알리고, 점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 지정된 날입니다.

반응형

 

점자란?

점자는 시각 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점으로 구성된 글자 시스템입니다. 루이 브라이유가 19세기에 개발하였으며, 각 문자는 6개의 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점들의 배열로 알파벳, 숫자, 구두점 등을 표현합니다.

점자 구성 - 국립국어원 출처

 

점자의 역사

점자의 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점자의 역사를 알아야 합니다. 루이 브라이유는 15세 때, 프랑스의 점자 시스템을 개발하기 시작하였고, 그 결과 브라이유 점자라는 시스템을 탄생시켰습니다. 그의 노력은 시각 장애인들이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었습니다.

최초의 점자 - 국립국어원 출처

한글점자

1894년에 미국 선교사 로제타 셔우드 홀 여사가 뉴욕포인트 점자(4점)를 변형하여 1898년 평양의 맹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습니다. 이 떄 사용된 평양점자 (최초의 한글점자인)는 자음의 초성과 종성 구분이 되지 않아 한계가 있었고, 이 후  일제 강점기시절 송암 박두성 교사가 제자들과 비밀리에 '조선어점자연구위원회'를 조직하고 1926년 11월 4일 최초의 한글점자 훈맹정음을 발표 하였습니다.

최초 점자교과서 - 국립국어원 출처
훈맹정음 - 국립국어원 출처

 

점자의 중요성

시각 장애인들에게 글을 읽고 쓰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점자는 그들에게 정보를 얻고, 생각을 표현하며, 사회와 소통하는 데 필요한 도구입니다. 또한 교육과 직업 훈련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점자의날의 의미

점자의날은 점자의 중요성을 알리고, 그것을 통한 정보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지정된 날입니다. 이 날을 통해 사회 전체가 점자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점자 교육과 활용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현대에서의 점자

디지털 시대에 점자는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전자 점자 디스플레이, 점자 번역 프로그램, 스마트폰용 점자 앱 등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점자의 활용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한글 자음과 모음의 점자 표기 - 국립국어원 출처

 

점자의 미래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 속에서도 점자는 그 중요성을 잃지 않을 것입니다. 디지털 점자 기기와 인공 지능을 활용한 점자 교육 시스템 등이 개발되며, 점자의 활용 영역은 더욱 넓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론

점자의날은 시각 장애인들의 정보 접근 권리와 점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날입니다. 이 날을 기념하며, 우리는 시각 장애인들의 권리와 점자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번 되새기게 됩니다.

 

점자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들은 국립국어원의 점자소개 글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점자 소개 - 국립국어원

 

 

 

반응형